2014년 1월 21일 화요일

[소프트웨어공학] 2.3 프로토타이핑 모델 (Protopyping Model, 원형)

- 게시된 자료를 가지고 개인적인 학습은 가능 하나 무단 배포 및 게시를 금지 합니다.

 

2.3  프로토타이핑 모델 (Protopyping Model, 원형)


1) 개요


l  소프트웨어의 모델을 사전에 만드는 공정

l  프로토타입 à 의사소통의 도구로 사용 (폐기될 수도 있음)
☞ 개발하려는 시스템의 주요 기능을 초기에 실제 운영 할 모데로 개발 하는것으로
   요구 사항을 미리 파악 하기 위한 메커니즘 이다
   그렇다면 왜 요구 사항을 미리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 될까??
   다들 알고 있으리라 생각 한다.
   만일 모르시는 분이 있다면 덧글로 달아 주시면 따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2) 특징


l  빠른 시제품 제작을 위해 효율성과 무관한 알고리즘 사용 가능
  ☞ 내부적 구조는 크게 상관하지 않는다 왜?? 프로토타입이므로..

l  개발의 타당성 검증시 사용 가능

l  사용자 또는 고객과의 상호작용을 강조
  ☞ 사용자와 개발자 간의 의사 소통이 원활하게되며 이는 양자에게 공동의 참조 모델을 제공
     하기 때문이다.

l  구현 단계의 기본골격으로 사용 가능

3) 절차: 요구사항분석 à 신속한 설계 à 프로토타입 작성 à 사용자 평가 à 프로토타입의 정제(세련화) à 공학적 제품화

 

 


4) 문제점


l  프로토타이핑 과정은 개발 과정이 아니므로 관리, 통제가 어려움

l  중간 과정을 점검할 있는 계획표나 결과물이 없음

l  프로토타입핑 모델은 자동화 불가

l  추가 비용, 일정 지연 문제 야기 가능

l  프로토타입
  ☞ 프로토타입이므로 기능이 제한적이고, 신뢰성이 낮다.
     그리고 사용자는 시제품을 보고 최종 제품으로 착각 할수 있어 추가로 요구 사항이
     발생 할수 있어 요구 사항 통제가 필요하다
 
l  시제품 폐기의 비경제적 (페기에 따른 오버헤드 발생)

l  사용자의 요구사항 통제 필요

5) 장점


l  사용자의 참여 극대화

l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모호할 경우 좋음

6) 프로토타이핑의 종류


l  실험적(Experimental) 프로토타이핑: 타당성 검증 목적, 의사소통 도구
  진화적(Evolutionary) 프로토타이핑 à B.Boehm 나선형 모델
 
 
- 감리사, 기술사, PMP, 소프트웨어공학,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