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월 26일 일요일

[소프트웨어공학] 2.4 점증정 모델 (Incremental Model) ~ 2.5 나선형 모델 (Spiral Model)

- 게시된 자료를 가지고 개인적인 학습은 가능 하나 무단 배포 및 게시를 금지 합니다.

 

 

2.4  점증정 모델 (Incremental Model)


1) 정의


l  선형 순자 모델 요소 + 프로토타입의 반복성

l  실제 작동하는 결과물을 만들어

l  특징: 재사용, 객체지향, RAD 기반 제공

l  진화적 개발: 접근법은 명세화, 개발, 검증 활동이 서로 중첩된다. 초기 시스템은 추상적인 명세로
  부터 빨리 개발되고 고객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고객의 입력과 함께
   개선된다.
 ☞프로토탕핑과 점증적모델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었일까?
   프로토타이핑은 결과물을 폐기 하고 점증적 모델은 폐기하지 않고 계속 Plus 해
   나가는것이다.

2) 모델 종류


l  점증적인 방법(Incremental Development Model): 기능의 추가, 통합 형식

l  반복적인 방법(Evolutionary Development): 기능을 완벽하게, 개선 발전

3) 장점


l  초기에 사용 교육 가능

l  새로운 릴리스에 기능 추가 가능, 기능 향상 가능

l  예상하지 못했던 문제를 신속하게 고칠 있음

2.5  나선형 모델 (Spiral Model)


1) 정의


l  폭포수 모델 + 원형 패러다임 + 위험분석(Risk Analysis)

l  Bohem개발

l  소프트웨어 생산 과정을 진화적인 방법으로 접근

2) 기본 가정


l  미리 소프트웨어 개발의 형태를 완벽하게 결정할 없음

l  프로토타이핑, 리스크 분석, 시뮬레이션, 모델링, 단가 분석 등은 세부적인 S/W 시스템 설계 전에
  완료

3) 특징


l  선형 모델의 체계적인 측면 + prototyping 반복적 특성

l  대규모 시스템 위험 부담이 시스템 개발에 적합 (위험분석 추가)

l  반복적인 접근법, 위험의 최소화

l  소프트웨어 품질 중에 강인성을 높일 있는 방법

4) 단계 (P – RA – E – CE)


l  계획수립(Planning) 목표, 기능 선택, 제약 조건의 결정

l  위험 분석(Risk Analysis): 기능 선택의 우선순위, 위험 요소의 분석/프로젝트 타당성 평가
                                             프로젝트 추진 여부 결정

l  개발(Engineering): 선택된 기능의 개발/개선된 높은 수준의 제품 개발

l  고객 평가(Customer Evaluation): 개발 결과의 평가
 
 

 


5) 장단점


장점
단점
l  정확한 사용자 요구사항 파악
l  위험 부담 감소
l  품질 확보
l  재사용화
l  사용자 요구사항 통제(위험 분석으로 )
l  프로젝트 개발에 많은 시간 소요
  
장기.대형 프로젝트에 적합
l  프로젝트 관리에 어려움(복잡함)
l  충분한 검증 미흡 (참조 사이트가 적음)


- 감리사, 기술사, PMP, 소프트웨어공학,

2014년 1월 21일 화요일

[DB] 1. 정보환경

시간 날때마다 데이타베이스(DB)로 함께 정리 하여 올리려 합니다.
강의 자료들 보시고 덧글 한번씩 달아 주세요.. ^^

- 게시된 자료를 가지고 개인적인 학습은 가능 하나 무단 배포 및 게시를 금지 합니다.

 

1. 정보 환경


1.1  정보처리 시스템


1) 정보와 데이터


 
정의
핵심
데이터
l  현실 세계로부터 단순한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수집된
    사실(facts) or (value)
-     (ex) 수치, 스트링
사실적 자료
정보
l  데이터의 유효한 해석(interpretation)이나 상호관계(relationship)
l  정보는 데이터를 처리해서 얻은 결과 (데이터 ¹ 정보)
-     I = P(D): Information, Process, Data
l  정보가 유용성을 갖기 위해서는  정확성 + 현재성 필요
  ☞ 정보가 유용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정확성과 현재성이
     필요하다.정보의 사전적 의미는 관찰이나 측정통하여 수집
          자료라도 되어 있듯이 정보로서의 가치를 가지려면
     정확성과 현재성이 같이 동반되어야 한다.
     그리고 처리 가공되지 않은것은 정보로서으 가치를 
     갖지 못한다. 
처리 가공
지식
l  동종의 정보가 집적되어 일반화된 형태로 정리된
l  정보가 의사결정이나 창출에 이용되어 부가가치가 발생
l  지식은 정보로부터 규칙, 일반화 발견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생산해낸
-     K = C(I): Knowledge, Creation, Information
부가가치,
일반화,
의사결정
지혜
l  지식을 얻고 이해하고 응용하고 발전해 나가는 정신적인 능력
l  지혜는 지식을 능력화한
-     W = K(A): Wisdom, Knowledge, Ability
내재화된 능력

 




2) 정보 시스템 (Information System)


l  조직체 활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 조작,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시에 처리해서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생성, 분배하는 수단

l  경영 정보 시스템(MI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기업에서 의사결정을 위해 정확하고
  최신의 정보 제공 수단으로 사용

l  의사 결정 시스템(DSS: Decision Support System): 여러 가지 복합적이고 광범위한 목적을 위해

-     데이터웨어하우스(DataWarehouse): 다양한 소스의 데이터를 별도로 추출하여 관리

-     데이터마이닝(DataMining): 관련된 데이터를 찾아내고 필요한 정보 또는 지식을 생성하는 과정

l  지식 베이스 시스템(Knowledge based System): 인간처럼 사고, 처리하는 시스템(AI)

 

1.2  자료처리 시스템


1) 일괄처리 시스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 (시스템 성능 높임, 처리 비용 낮음), 대기,

                                  사전 준비 작업 필요


l  시스템 중심의 자료 처리 방법

2) 온라인처리 시스템: 사용자 중심 처리 방법, 낮은 시스템 성능, 높은 처리비용


l  실시간(real-time) vs 온라인(on-line)

실시간
사용자의 요구에 대해서 주어진 시간 안에 반드시 처리해주는 시스템 (시간 제약)
종류: 하드 실시간 시스템, 소프트 실시간 시스템
온라인
사용자가 요구하는 즉시 처리해주는 시스템 (지정된 시간 없이 오직 빠른 시간 안에 처리)
일반적으로 소프트 실시간 시스템 =  온라인 시스템
            ☞ 실시간 시스템과 오라인 시스템의 대표적인것이 무엇이 있는지 생각 해보자..

3) 분산처리 시스템: 분산된 처리기와 네트워크로 연결, 확장 가능, 이종 하드웨어 가능, 보안 어려움, 관리 어려움


병행(concurrent)
멀티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 하나의 프로세서가 처리 속도 극대화를 위해 사용
à 시분할 기법 이용
병렬(parallel)
다중처리 시스템에서 이상이 프로세서가 여러 프로세스를 동시 수행


- 감리사, 기술사, PMP, 데이타베이스(DB)